world-365-blog 님의 블로그

괄약근에 대하여 다각도에서 분석하는 글을 업로드 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8. 2.

    by. world-365-blog

    목차

      정신건강의 문제를 이야기할 때 괄약근을 떠올리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정신적인 긴장, 불안, 스트레스는 우리 몸의 근육 반응과 자율신경계를 통해 드러나며, 그 중에서도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근육 중 하나가 괄약근이다.
      공포를 느낄 때 항문이 쪼여지는 느낌을 경험한 적이 있는가? 혹은 긴장할 때 갑작스러운 설사나 변의가 생긴 적은?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괄약근은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위이며, 감정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만성 불안, PTSD, 우울증 등에서는 골반저 근육군의 만성 긴장이나 항문괄약근의 과긴장증(anismus)이 흔히 동반된다. 이로 인해 변비, 배변장애, 항문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심리적 위축감과 자존감 저하로 이어져 악순환이 발생한다.

      감정을 기억하는 괄약근

      신경정신의학자들 사이에서는 괄약근이 단순한 근육을 넘어 '감정의 기억 저장소'처럼 기능한다는 이론도 제기된다. 반복적인 트라우마나 부정적 감정을 겪은 사람일수록 항문괄약근 또는 요도괄약근이 과도하게 긴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긴장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쉽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몸-마음 연결성의 이상을 나타낸다.

      괄약근을 통한 심리 안정

      괄약근 이완 훈련은 단순한 신체 조절을 넘어, 정서 안정에도 깊은 영향을 준다. 괄약근은 우리가 긴장할 때 무의식적으로 수축되며, 이로 인해 배뇨, 배변뿐 아니라 호흡, 심박, 불안감 같은 자율신경계 반응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이완 훈련은 이러한 긴장을 풀어내며, 신체적 편안함은 물론 심리적 안정감도 유도한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복식호흡과 골반저 근육 훈련이 있다. 복식호흡은 횡격막과 복부를 이완시키며 괄약근을 부드럽게 자극하고, 골반저 운동은 괄약근의 조절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긴장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훈련은 장기간 지속할수록 불안 완화, 분노 조절, 수면의 질 향상 등 다양한 정서적 이점을 가져온다.
      최근 일부 심리치료에서는 호흡과 괄약근 이완을 병행한 ‘신체 기반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마음의 이완을 몸으로 확장하는 방식으로, 괄약근 이완이 자율신경계의 안정화를 유도한다는 원리다. 실제로 정신질환을 겪는 환자들이 괄약근 이완 훈련을 통해 수면의 질, 불안 수준, 배변장애가 개선되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Harvard Mind-Body Institute, 2023).
      정리하자면, 괄약근 이완 훈련은 단지 배변 조절을 위한 기술이 아닌, 몸과 마음을 동시에 다스리는 심신 치유의 수단이다. 꾸준한 실천은 자신에 대한 인식 개선과 감정 통제력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괄약근과 정신건강

       

      괄약근이 주는 신호

      누군가 말했듯, 마음이 아프면 몸도 조용히 신호를 보낸다. 괄약근은 그런 신호를 가장 섬세하게 전달하는 부위다. 누군가의 ‘긴장된 삶’을 이해하려면 때로는 그 사람의 괄약근이 얼마나 지쳐있는지를 들여다봐야 한다. 정신건강은 단지 머릿속 문제만이 아니다. 때로는 몸이 먼저 알고, 괄약근이 가장 먼저 반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