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365-blog 님의 블로그

괄약근에 대하여 다각도에서 분석하는 글을 업로드 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7. 26.

    by. world-365-blog

    목차

      괄약근을 단순히 항문이나 요도를 조이는 근육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이 근육들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신경 자극에 따라 열리고 닫히며, 배변과 배뇨, 역류 방지 등 인체의 중요한 기능을 제어한다. 그러나 신경과 근육 간의 통신에 이상이 생기는 ‘신경근육질환’이 발생하면, 이 조화로운 시스템이 심각하게 흔들릴 수 있다. 괄약근 기능의 장애는 흔히 노화나 외상에 기인한다고 여겨지지만, 실은 보다 근본적인 문제인 신경 및 근육 간 연결 부위의 병리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글에서는 괄약근이 신경근육질환과 어떻게 얽혀 있는지, 구체적인 병태생리학과 임상적 예시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신경근육접합부와 괄약근


      신경근육질환의 많은 경우, 말단 운동신경이 근육 섬유와 정보를 주고받는 접합부, 즉 신경근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에 문제가 생긴다. 대표적인 예는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이다. 이 자가면역 질환은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생겨 운동신호 전달을 방해하며, 이로 인해 골격근의 수축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중증 근무력증은 안검하수나 사지 무력감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외부 괄약근(anal sphincter, external urethral sphincter) 또한 골격근에 해당되기 때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임상적으로는 항문 조임 근력이 떨어져 배변 조절이 어려워지는 경우, 또는 방광 경부 괄약근 기능 약화로 요실금이 유발될 수 있다.

      중추신경계 질환과 괄약근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이나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과 같이 중추신경계(CNS)를 침범하는 질환 역시 괄약근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이들 질환은 척수의 배변·배뇨 반사 경로를 손상시켜, ‘반사적 괄약근 수축’ 혹은 ‘수의적 괄약근 제어’ 모두를 무력화시킨다. 예를 들어, 척수의 요천추 분절(S2~S4)은 외부 및 내부 괄약근의 신경 지배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해당 부위에 손상이 생기면, 배변을 억제하거나 배뇨를 개시하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변실금이나 요실금이 유발된다. 동시에 괄약근의 긴장 상태도 조절되지 않아, 때로는 과긴장(hypertonia)이나 저긴장(hypotonia)이 혼재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말초신경병증과 괄약근


      신경근육질환이 반드시 중추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처럼 말초신경이 손상되는 경우, 괄약근 기능은 미묘하게, 그러나 치명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배뇨 및 배변에는 내부 장기의 감각 피드백이 중요하며, 이 감각 정보는 하행 결장, 직장, 방광, 요도 등에서 수집되어 뇌로 전달된다. 하지만 말초신경의 퇴행으로 인해 이 감각 경로가 둔화되면, 환자는 배변욕구를 제때 인지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항상 긴장된 괄약근으로 인해 배변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만성 당뇨병 환자에게 종종 나타나는 자가치유 저하 및 염증 민감성 증가는 괄약근 주변 조직의 회복력 저하로 이어져, 2차적인 기능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괄약근과 신경근육질환

      운동신경세포 질환과 괄약근의 내성


      흥미로운 점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과 같은 일부 신경근육 질환에서는 오히려 괄약근 기능이 상대적으로 보존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ALS는 상·하위 운동신경세포를 침범하여 사지 및 호흡근의 위축을 초래하지만, 임상적으로 항문괄약근과 요도괄약근은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기능을 유지하는 사례가 보고된다. 이는 괄약근에 분포된 운동신경이 다른 근육에 비해 병변에 대한 저항성을 보일 수 있다는 이론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만, 질병이 말기에 도달하면 대부분의 자율기능이 붕괴되므로 괄약근 역시 영향을 피할 수 없다.

      괄약근의 재활과 치료


      신경근육질환으로 인한 괄약근 기능장애는 단순한 약물 치료로 완치되기 어렵다. 대신, 전기 자극 치료(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나 바이오피드백 요법, 보톡스 주사 등 다양한 중재가 활용된다. 전기 자극은 괄약근을 포함한 회음부 근육의 수축을 유도함으로써, 근력과 반응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며, 특히 다발성 경화증, 척수손상,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에게 재활 치료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신경조절기 삽입술(sacral neuromodulation)은 천수신경을 통해 괄약근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괄약근의 수의적 통제가 어려운 환자에게 의미 있는 기능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괄약근과 삶의 질


      괄약근의 기능은 단순한 근육 수축에 의존하지 않는다. 신경과 근육, 감각과 반응, 중추와 말초의 복잡한 소통 구조 안에서 그 조화가 유지된다. 신경근육질환은 이 연결망을 무너뜨리는 질환이며, 괄약근 기능장애는 그 무너진 곳에서 자주 나타나는 신호다. 단순한 증상보다는 그 이면의 신경생리학적 기전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환자 맞춤형 치료와 장기적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괄약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괄약근과 정신건강  (0) 2025.08.02
      괄약근과 성기능  (0) 2025.08.01
      괄약근의 사회적 기능  (0) 2025.07.31
      괄약근과 장기이식수술  (0) 2025.07.30
      괄약근과 과민성대장증후군  (0) 2025.07.24
      괄약근과 변비  (0) 2025.07.21
      괄약근과 약물치료  (0) 2025.07.19
      괄약근 수술의 종류  (0) 2025.07.16